부산소방, 청명‧한식 산불 위험 최고조…"각별한 주의 필요"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소방재난본부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 특보가 발효되고,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청명(4월 4일)‧한식(4월 5일) 기간 동안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화기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전경
부산소방재난본부 전경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화재는 총 1596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782건, 2023년 546건, 2024년 268건이 발생했으며, 인명피해는 사망 7명, 부상 147명, 재산피해 규모는 977억 원에 달했다.

특히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3월(360건, 22.6%)이었으며, 이어 4월(345건, 21.6%), 2월(264건, 16.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봄철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산불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 원인별로는 담배꽁초(468건, 29.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쓰레기 소각(265건, 16.6%), 원인 미상(251건, 15.7%) 등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 화재가 부주의와 실수로 인해 발생한 만큼, 성묘객과 등산객 등 산을 많이 찾는 청명·한식 기간에는 더욱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불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산림 내에서는 절대 흡연을 금지하고, 라이터 등 인화 물질 소지를 자제할 것 △산림 및 인접 지역에서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을 금지할 것 △산림 내에서는 지정된 장소에서만 취사 가능하며, 불법 캠핑 및 취사를 삼갈 것 △산림 내 공사 시 용접 등 화기 사용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 산에서 연기나 불을 발견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산불과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산행 중 산불이 발생하면 골짜기를 피해 바람이 부는 반대 방향으로 즉시 하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